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암호화폐 산업에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정책 지원을 내세우며 ‘크립토 퍼스트’ 기조를 공식화했습니다⁠. 대통령령으로 비트코인 전략비축(SBR)을 신설하고, 스테이블코인 규제법(GENIUS Act)에 서명하는 등 정책·법률 환경이 급격히 우호적으로 바뀌자 월가와 실리콘밸리는 물론 글로벌 자본까지 관련 종목에 눈길을 돌리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트럼프 정권의 코인 친화 정책으로 직접 수혜가 기대되는 핵심 종목들을 심층 분석하고, 장·단기 투자 포인트를 제시해 드리겠습니다.

     

    I. 트럼프 2기, 왜 ‘크립토 대통령’이 되었나?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1월 ‘디지털 금융 리더십 강화’ 행정명령을 통해 기존 규제를 대폭 철폐하며 “미국을 암호화폐의 수도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천명했습니다⁠. 이어 3월에는 전략비트코인비축 설치 명령을 발동해 정부 보유 비트코인을 매각 금지하고 국가 자산으로 편입했습니다⁠. 7월에는 스테이블코인 규제·육성법(GENIUS Act)을 통과시키며 업계 숙원인 규제 명확성을 확보했습니다⁠.

     

    이 같은 친(親)크립토 기조는

    • SEC·DOJ의 암호화폐 소송 취하 및 집행 중단⁠
    • 캠페인 후원금의 암호화폐 수납⁠
    • 금융회사의 스테이블코인·BTC 보유 허용

    등으로 이어지면서 암호화폐 생태계 전반에 훈풍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II. 정책 변화가 미칠 3대 투자 파급효과

     

    1. 거래·보관 인프라 수요 급증
      제도권 투자자가 안심하고 진입할 토대가 마련됨에 따라 대형 거래소·커스터디 업체 실적 성장세가 빨라질 전망입니다⁠.
    2. 트레저리 전략의 확산
      트럼프 미디어뿐 아니라 MicroStrategy, 상장 채굴사까지 비트코인을 국고·기업금고에 편입하는 흐름이 가속되고 있습니다⁠.
    3. 채굴·인프라 확대
      규제 완화와 에너지 우대 정책 덕분에 채굴 기업의 해시레이트 증설 계획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III. 종목별 상세 분석

     

    1. 거래 인프라: Coinbase Global (COIN)

     

    • GENIUS Act 통과로 스테이블코인 결제·발행 수익이 대폭 확대될 전망.
    • Cantor Fitzgerald는 ‘크립토 슈퍼앱’ 전략을 근거로 목표주가를 292달러→500달러로 상향⁠.
    • 월가 컨센서스 평균 목표주가 320.06달러, 최고 510달러⁠.
    • SEC 소송 철회 가능성으로 규제 리스크 완화.

    투자 포인트: 규제 명확성 확보 → 기관 거래량 증가, 스테이블코인 수수료 수익 다변화.

     

    2. 비트코인 트레저리: MicroStrategy (MSTR)

     

    • 7월 14일 추가 매입 4,225 BTC, 총 601,550 BTC 보유.
    • 평균 매입가 71,268달러, 시가 대비 약 70% 평가이익⁠.
    • 트럼프의 비트코인 비축 정책과 동조화된 레버리지드 BTC 플레이로 주가 변동성 확대.

    투자 포인트: BTC 가격 레버리지 + 기업용 데이터 분석 본업, 이중 성장 스토리.

     

    3. 디지털 자산 기반 미디어: Trump Media & Technology Group (DJT)

     

    • 20억달러 규모 BTC를 보유, 유동자산의 ⅔ 차지⁠.
    • Truth Social·Truth+·Truth.Fi 생태계에 자체 유틸리티 토큰 계획⁠.
    • 행정부·규제기관과의 이해상충 논란이 있지만 정책 수혜는 직접적.

    투자 포인트: 대통령 브랜드, 비트코인 재무전략, 자체 토큰 출시 모멘텀.

     

    4. 채굴·인프라: Marathon Digital (MARA), Riot Platforms (RIOT)

     

    지 표 Marathon Digital Riot Platforms
    6월 BTC 생산 713 BTC 514 BTC(5월)
    보유 BTC 49,940 BTC 9,870 BTC(추정)
    연말 해시레이트 목표 75 EH/s 42 EH/s+
    성장 전략 1.7 GW 자가전력·저가에너지 텍사스 AI 데이터센터 확장

     

    두 기업 모두 트럼프 행정부의 친에너지·친채굴 정책, 텍사스 주의 비트코인 준비금 조성 움직임으로 직접적 수혜가 기대됩니다⁠.

    투자 포인트: 해시레이트 급증, 자체 전력 인프라, AI·HPC 전환(riot).

     

     

     

    5. 결제·스테이블코인: PayPal (PYUSD), Stripe (Bridge 인수)

     

    • GENIUS Act로 규제 불확실성 해소, 결제기업의 스테이블코인 사업 확대⁠.
    • PayPal USD(PYUSD) 상거래 결제 통합, Stripe는 브리지(Bridge) 인수로 온·오프램프 강화⁠.

    투자 포인트: 글로벌 송금·핀테크 네트워크와 암호화폐 결제의 시너지.

     

    6. AI·반도체: Nvidia, AMD

     

    • AI 모델 학습·추론 수요와 채굴 전력 절감 기술 동시 수혜⁠.
    • AMD MI350/MI450, Nvidia Blackwell 계열은 크립토·AI 이중 수요에 맞춰 중국·글로벌 버전 출시 계획.

    투자 포인트: AI·크립토 융합 인프라 핵심 칩 공급자.

     

    7. 핵심 종목 요약 테이블

     

    분 류 종목(티커) 주요 모멘텀 밸류에이션(7/22) 주가상승 여력
    거래소 Coinbase (COIN) GENIUS Act·슈퍼앱 $413.63 목표 $500(+21%)
    BTC 트레저리 MicroStrategy (MSTR) 601,550 BTC $445(7/21) BTC 가격 레버리지
    미디어·토큰 Trump Media (DJT) 2 B$ BTC 보유 $47.20(7/21) 토큰·BTC 호재
    채굴 Marathon (MARA) 75 EH/s 목표 $28.15 해시레이트 +40%
    채굴 Riot (RIOT) AI 데이터센터 $16.90 인프라 다각화
    결제 PayPal (PYPL) PYUSD 확장 $112.05 스테이블코인 결제
    결제 Stripe(비상장) Bridge 인수 - 온·오프램프 독점
    반도체 Nvidia (NVDA) AI·크립토 GPU $171.38 AI 수요 지속
    반도체 AMD (AMD) MI350·450 로드맵 $140 목표 AI Inferencing

     

    8. 리스크 체크리스트

     

    • 정책 뒤집기·행정명령 소송: 의회 혹은 법원에서 행정명령이 뒤집힐 시 규제 리스크 재부각⁠.
    • 비트코인 가격 급락: 트레저리·채굴주 중심 종목군 변동성 확대.
    • 에너지·환경 규제 부활 가능성: 차기 선거·州정부 정책에 따라 채굴 비용 증가.
    • 회사가격 과열: DJT 등 밸류에이션 부담 심화, 변동성 관리 필요.

     

    IV. 포트폴리오 구축 가이드

     

     

     

    자산 배분 예시 (모더레이트 리스크 투자자)

     

    • 거래·인프라(코인베이스) 25%
    • BTC 트레저리·메가캡(MSTR) 20%
    • 채굴(마라·라이엇) 15%
    • 결제·스테이블코인(PYPL 등) 20%
    • 반도체(NVDA·AMD) 15%
    • 캐시·헤지(골드 ETF 등) 5%

    리밸런싱 주기: 분기별 · 하방 변동성 30% 이상 시 수시 점검.
    헤지 수단: CME 비트코인 선물, 옵션, 금 ETF 등.

     

    V. 결론

     

    트럼프 행정부는 비트코인을 국가전략자산으로 격상시키며 규제 완화·제도권 편입·기관 자금 유입이라는 세 갈래 모멘텀을 동시에 촉발했습니다⁠. 이에 따라 거래소·보관 인프라, 기업형 BTC 트레저리, 채굴·에너지, 결제·스테이블코인, AI 반도체까지 암호화폐 가치 사슬 전반에 걸친 성장 동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는 ▲정책 추세(행정명령·법안 진행 상황) ▲비트코인 가격 사이클 ▲에너지·환경 이슈 ▲회사의 현금흐름·부채 구조를 함께 점검하시어 중장기 관점의 분산 투자 전략을 권고드립니다. 정책 리스크와 가격 변동성을 헤지하면서, 트럼프 2기 크립토 붐의 실질적 수혜 기업에 적극적이되 신중한 매수 접근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